당건은? 네이버 당뇨와건강 카페 쇼핑몰 제휴문의

  •   전체메뉴
    • 전체 게시글
    • 이벤트/공구
    • 당뇨스토리
      • 전체
      • 25년 당뇨이야기
      • 당뇨인 인터뷰
      • 당뇨 경험담
      • 당뇨식
      • 당뇨교육 오프라인
      • 당뇨교육 온라인
      • 당뇨운동
      • 여행/캠핑/힐링 소개
    • 당건레터
      • 전체
      • 뉴스레터
      • 당건 뉴스
      • 당뇨Tip
    • 당건TV
      • 전체
      • DOCTOR 인터뷰
      • 당뇨인 인터뷰
      • 병원 인터뷰
      • 업체 인터뷰
      • 당뇨학교
      • 당뇨Tip
    • 커뮤니티
      • 당뇨와건강 카페
      • 당뇨신문
      • 당건맘스 카페
      • 쇼핑몰
      • 당뇨학교 병원
      • 당건톡 App
    • 쇼핑몰
  • 전체 게시글
  • 이벤트/공구
  • 당뇨스토리
    • 전체
    • 25년 당뇨이야기
    • 당뇨인 인터뷰
    • 당뇨 경험담
    • 당뇨식
    • 당뇨교육 오프라인
    • 당뇨교육 온라인
    • 당뇨운동
    • 여행/캠핑/힐링 소개
  • 당건레터
    • 전체
    • 뉴스레터
    • 당건 뉴스
    • 당뇨Tip
  • 당건TV
    • 전체
    • DOCTOR 인터뷰
    • 당뇨인 인터뷰
    • 병원 인터뷰
    • 업체 인터뷰
    • 당뇨학교
    • 당뇨Tip
  • 커뮤니티
    • 당뇨와건강 카페
    • 당뇨신문
    • 당건맘스 카페
    • 쇼핑몰
    • 당뇨학교 병원
    • 당건톡 App
  • 쇼핑몰
  • 로그인
당건레터
  • 전체
  • 인터뷰
  • 당뇨 뉴스
  • 당뇨 Tip
  • 당뇨인레시피
  • 당뇨퀴즈

10
VIEW659
40만 당뇨커뮤니티
당뇨 관리, 이것만은 꼭 알자!
당뇨 진단과 관리의 시작2003년, 당시 30대의 저는 갑작스럽게 당뇨 진단을 받았습니다. 몸이 점점 무겁고 피로가 쌓이던 시기였기에 진단을 받던 그날의 충격과 두려움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납니다. 첫 진단을 받은 동네 내과에서는 약을 처방해 주고 1주 후 다시 보자는 말이 전부였습니다. 다음 진료에서도 약을 조절하고 2주 후에 오라는 안내뿐이었고, 정작 당뇨 관리에 대한 구체적 안내는 없었습니다. 무엇을 먹어야 하는지, 생활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아무것도 몰랐던 저는 서점에서 관련 책을 사보고, 인터넷을 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2025.09.16
4
VIEW231
40만 당뇨커뮤니티
당뇨 예방 및 내당능 장애에서 당뇨로 안 가는 방법
당뇨병으로 발병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적 여유가 주어집니다. 이 기간을 소홀히 보내면 결국 확진에 이르게 되지만, 반대로 미리 준비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당뇨를 막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은 단순히 약물이나 치료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전반을 조절하는 데 있습니다. 그 해답은 바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우리 몸이 인슐린의 신호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이 상황이 반복되면 혈당이 정상적
2025.09.10
6
VIEW1,312
40만 당뇨커뮤니티
더운 여름에 인슐린은 어떻게 보관하는지요?
Q.더운 여름에 인슐린은 어떻게 보관하는지요? A.더운 여름철에는 인슐린 보관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온에서 약효를 저하, 얼게 되면 성분이 파괴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보관 원칙개봉 전 인슐린은 2~8도의 냉장에 보관하고(얼지 않도록 문쪽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 개봉 후 인슐린은 실온(25도 이하)에서 4주간 보관 가능, 고온에서는 냉장보관을 권장합니다.사용 중인 인슐린도 실내 온도가 30도 이상인 경우는 냉장 보관하고, 주사 전 꺼내어 주입합니다. 외출 시에는 인슐린냉각지갑을 이용하시면 안전합니다. 차 안
2025.08.09
6
VIEW264
40만 당뇨커뮤니티
혈당과 탄수화물의 관계 / 당뇨 관리의 기초
혈당과 탄수화물의 관계혈당과 탄수화물은 긴밀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특히 당뇨 관리와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당뇨 관리는 여기서 출발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탄수화물의 관계를 이해하면 식사도 편하게, 식사 두려움 등에서 극복할 수 있습니다. 1. 탄수화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탄수화물은 섭취 후 소화 과정을 통해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이 과정에서 혈당 수치가 상승합니다.단순 탄수화물: 소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혈당을 급격히 올립니다.예) 설탕, 꿀, 과일 주스복합 탄수화물: 통곡물, 채소,
2025.08.08
7
VIEW445
40만 당뇨커뮤니티
당뇨인의 운동으로 실내자전거의 장점과 단점
당뇨인의 운동으로 실내자전거의 장점과 단점​장점혈당 관리 효과실내자전거는 유산소 운동으로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근육 세포가 더 많은 포도당을 흡수하고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인슐린 민감도가 증가합니다. 이를 통해 혈당 조절이 용이해집니다. 안전한 환경실내에서 운동하기 때문에 날씨, 교통사고, 미끄러짐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한 위험이 줄어듭니다. 특히 당뇨인의 발 관리를 위해 더 안전한 운동 환경을 제공합니다. 운동 강도 조절 가능실내자전거는 속도와 저항을 조절하여 개인의 체력
2025.08.08
3
VIEW152
40만 당뇨커뮤니티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이해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이해인슐린 저항성은 세포가 인슐린의 작용에 둔감해져 혈당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슐린은 혈중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저장되도록 돕습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면 세포가 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혈당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의 주요 원인가족력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비만은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신체 활동이 적으면 근육이 혈당
2025.08.08
5
VIEW701
40만 당뇨커뮤니티
당뇨발이란?
당뇨발이란?당뇨발은 당뇨병으로 인해 발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말합니다. 혈당 관리가 잘되지 않을 경우 혈관 및 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발 부위에 여러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발의 주요 원인신경병증(말초신경병증)감각 저하: 발에 통증이나 압박을 느끼는 감각이 둔화되어 상처가 생겨도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운동신경 손상: 발의 근육 약화로 인해 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병증(말초혈관질환)혈액순환 장애: 발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상
2025.04.01
1
VIEW75
40만 당뇨커뮤니티
뼈 건강과 혈당관리를 동시에...건기식 '뼈와 혈당케어' 출시
뼈(K2)와 혈당케어'가 출시됐다. 이 제품은 칼슘, 비타민K와 D, 바나나잎 추출물, 종합비타민과 미네랄이 포함됐다. 이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을 인증받은 All-Trans형 비타민K2가 포함됐다. 이 비타민K2는 특허 등록된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를 이용해 발효됐으며, 초임계 추출 기술을 활용해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99% 순도의 All-Trass형 MK-7로 우수한 품질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식약처 인정 기능성 원료인 바나나잎 추출물로 혈당 상승도 억제할 수
2025.03.17
2
VIEW804
40만 당뇨커뮤니티
김치도 혈당을 올리나요?
김치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김치는 대체로 혈당을 크게 올리지 않는 식품으로, 이는 주원료인 배추와 무가 저탄수화물 식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효 과정에서 당분이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어, 당뇨병인이나 혈당 관리를 신경 쓰는 분들에게 적합한 반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김치의 혈당 영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김치의 탄수화물 함량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무 등은 저탄수화물 식품입니다. 일반적으로 김치 100g당 탄수화물 함량은 1~2g 수준으
2025.03.07
  • 처음
  • 이전
  • 1
  • 2
  • 3
  • 다음
  • 마지막
제휴문의
공지사항
고객센터
회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광고안내
회사명 : 당뇨와건강 커뮤니케이션  |  주소 : 서울시 마포구 잔다리로 39, 704호(로뎀빌딩)  |  사업자등록번호 : 130-33-99175 | 서울,아04677
대표/발행인 : 염동식  |  연락처 : 010-3319-5564  |  이메일 : danggun2003@naver.com
Copyright © since 2003 당뇨와건강 All Rights Reserved.